삼원강재 023000 : 2024-2025 이슈 및 사업전망
[철강, 건설경기, 인프라 소재주]
삼원강재 023000
2024-2025 이슈 및 사업전망
요약 한눈에 보기
■ 최근 이슈 :
건설·인프라 경기 회복 기대, 철근 수요 회복,
친환경·고부가 소재 투자 확대, 저평가(자산가치).
■ 사업구성 :
봉강(철근) 및 형강(빌딩용 H빔 등) 제조·판매,
국내외 건설·토목 인프라 소재 납품.
■ 투자포인트 :
건설/토목 경기 민감주,
원재료 가격 하락 효과,
배당정책 강화, 저PBR 구간.
항목 | 내용 |
---|---|
주요 사업 | 철근(봉강), H빔, 형강 등 철강재 국내외 건설·토목·인프라 납품 |
2024 실적(추정) | 매출 1.2조원 영업이익 350억(전년비 개선) PBR 0.4배, 배당수익률 2%대 |
시장 지위 | 국내 철근(봉강) Top3, 형강 강자 공공·민간 건설 대형 프로젝트 공급 |
주요 이슈 | 건설경기 바닥 반등 기대 친환경·고강도 소재 수요 증가 저평가(자산+PER), 배당 확대 정책 |
성장 동력 | 국내외 인프라 투자 확대 친환경 철강(재생강, 에너지절감) 고부가 특수강 사업 |
긍정 요인 | 경기 민감 회복 구간 자산 대비 저평가(PBR 0.4) 배당 및 재무 안정성 |
리스크 | 건설경기 부진 시 수요 위축 철강 원가 변동 리스크 중국 철강공급 과잉 등 대외 변수 |
투자 전략 | 경기 회복+배당 모니터링 분할매수, 실적/경기 체크 친환경·특수강 성장 주목 |
1. 사업구조와 주력제품
삼원강재는 국내외 건설·토목·인프라에
필수적인 철근(봉강) 및 형강(H빔 등) 전문 제조기업입니다.
국내 상위 3대 봉강·형강사로, 공공·민간 대형프로젝트에
대량 납품 경험을 갖추고 있습니다.
2. 최근 이슈와 시장지위
2024년 상반기 기준,
국내 건설경기 침체에도 정부 SOC,
수도권 신도시, 인프라 투자확대 정책으로
하반기 철근 수요 반등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 친환경 소재, 에너지 절감 설비,
고강도·특수강 제품군 확대로
업계 내 시장 지위가 더욱 견고해지고 있습니다.
3. 2024-2025 실적 및 전망
2023년 실적은 건설경기 부진 영향으로 주춤했으나,
2024년은 매출 1.2조원,
영업이익 350억 내외로 전년 대비 개선 추세입니다.
PBR 0.4배, 배당수익률 2% 내외로
자산가치에 비해 저평가된 구간이며,
배당 확대 정책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4. 긍정적 요인
• 건설경기 회복 시 수혜주
• 저평가(자산+PER), 배당정책 강화
• 친환경·고강도 소재로 성장 동력 확대
• 실적·재무 안정성 개선
5. 리스크 요인
• 건설·부동산 경기 부진 시 실적 둔화
• 원재료(스크랩 등) 가격 급등 시 수익성 하락
• 중국 철강 공급 과잉 등 대외 변수
• 철강산업 내 경쟁사 투자 확대
6. 결론 및 투자전략
삼원강재는 저평가(자산), 친환경·특수강 성장, 배당정책이
공존하는 대표 철강주입니다.
건설경기 회복·인프라 투자 수혜, 안정적 배당,
중장기 분할매수 전략이 유효하며
친환경 및 고부가 철강 성장 동력에 주목할 만합니다.